실무기획자 인터뷰 
 “기획자들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

김상윤 : AVA, 배틀필드온라인에서 FPS의 레벨디자인 및 게임기획 경력
- 현재 CRYTEK에서 개발중인 WARFACE의 Lead Game Designer로 재직중


1. 리더 게임개발자로서 기획의 노하우라면 어떤것이 있을가요?


: 기획자의 임무는 기획서를 쓰는 거지만 그것 만으로는 게임이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기획자의 진짜 임무는 바로 커뮤니케이션입니다. 그래서 저는 프로그래머와 아트작업자들의 

얘기를 많이 듣기 위해 노력하고 또한 그들에게 기획서의 내용을 충분히 잘 전달하기 위해 노력 합니다.


2. 국내 게임 기획과 해외 게임기획의 다른점은? 


: 국내게임시장은 대다수를 차지하는 캐주얼유저가 지지기반을 형성하고 있고 그 위에 소수의 

하드코어유저가 있습니다. 하지만, 서양에서 

게임유저는 거의 대부분이 하드코어유저입니다. 그래서 서양기획자의 기획은  , 

성장곡선, 레벨디자인 등의 주요 기획요소가 매우 하드코어 하게 밸런싱되어 있습니다.

 "이 게임이 하고 싶어? 그럼 죽도록 노력해봐. 안 그럼 넌 이 게임 못해."... 이런 식입니다.


3. 그 외 게임 기획자로서 현업자들 또는 입문자들에게 해주고 싶으신 이야기는?


: 첫째, 기획자는 박학다식해야 합니다. 문화적인 소양이 풍부해야 합니다. 영화, 드라마, 소설, 만화,

 음악을 많이 보고, 많이 듣고, 많이 읽으세요. 

둘째, 게임개발은 팀웍 이므로 성격이 좋아야 합니다. '함께 일하고 싶은 사람'이 되도록 노력하세요.
 


송호준 -현재 라온엔터테인먼트 / 전략기획 실장, 마케팅 팀장


1. 온라인 게임이 해외 서비스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 3가지 정도 있다면 무엇입니까?
 

여러 가지 중요한 것들이 있지만 이중에 3가지를 뽑으라고 하면, 철저한 시장조사, 개발사의지, 철저한 현지화가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 됩니다.


2. 국내 시장과 해외 시장 유저들의 차이점이 있습니까? 있다면 어떤 것인지요?
 

각 국가별로 성향의 차이가 있습니다.

일본 유저들은 귀여운 캐릭터(2~3등신)를 좋아하는 반면, 인도네시아는 섹시한 캐릭터(8등신)를 좋아합니다. 국내는 반반 인 것 같아요. 그리고, 일본 유저들은 스토리를 매우 중요시 하고, 본인을 위한 콜렉션과 한정판을 몹시 좋아하는 반면, 국내 유저들은 스토리 보다 게임의 빠른 진행과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뽐내기를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3. 해외 시장 공략을 위해서는 기획단계부터 조금 달라야 할 것 같습니다. 어떤 것을 유의해야 하는지요?
 

해외 서비스를 준비하는 팀에 항상 2가지를 이야기 합니다.

첫째, 현지화를 할 때에는 한국사람의 입장에서 생각 하지 말고 현지인 이라는 생각으로 준비하라.

둘째, 기획단계에서 개발을 타이트하게 잡지 않고 응용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놓아라.

각 국가별로 유저성향, 네트워크, 결제수단, 마케팅 방법 등이 많이 다르기 때문에 그에 따른 UI도 상당히 많이 변경 됩니다. 따라서, 현지 시장조사를 철저하게 하고 혹은 현지 파트너가 있다면 잦은 협의를 진행 한 뒤 시장에 맞게 기획과 개발의 수정이 필요 합니다.


4. 해외 게임 시장 진출을 처음 하려는 기업에 조언할 것이 있다면?
 

철저한 시장 조사를 하고, 현지 파트너의 말에 귀를 기울이십시오.

그리고, 절대 한국과 비교를 하지 말고 현지인의 자세로 판단 하시길 바랍니다.


노 태 윤 拜上CEO of Digital Frog Co., Ltd


1. 스마트폰 게임 개발 업체가 투자를 받기 위해서는 사업초기에서부터 무슨 준비를 해야 하는가요?
 

1) 가능한 빠른 시점에 회사의 대표게임을 만들어야 합니다. 게임 전문 창투사들의 경우 담당자들 중 상당수가 실제 게임 유저이므로, 이들에게 기억될 수 있는 게임 1개 정도는 있어야 합니다. 

2) 초기 게임회사들이 간과하기 쉬운 부분 중 하나가 회계관리와 자금운영의 투명성입니다. 번거롭다고 여기지 말고, 이 부분 업무가 평상 시에 잘 관리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합니다. 회계와 자금의투명성이 결여된 회사가 창투사의 투자자를 유치하는 일은 불가능합니다.


2. 투자를 잘 받기 위해서는 게임 기획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게임 기획 잘하기 위한 비법 등 2~3가지가 있다면 무엇인가요?
 

1) 많이 보고, 많이 듣고 많이 느껴서 트렌드의 변화를 읽어낼 수 있어야 한다.

(익숙함과 식상함을 읽을 수 있어야 창조적인 것을 만들어낼 수 있다.)

2) 보고 듣고 느낀 것들을 반드시 구체적으로 도출해 내어야 한다. 최대한 기획 내용을 시각화 시켜낼 수 있어야 한다.

(기획자의 생각을 팀원들이 이해 할 수 있어야 된다.)

3) 커뮤니케이션능력이 중요 하다.

(서로간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 이해를 최대한 일치 시켜 낼 수 있어야 한다.)


3. 실제 투자 받으신 경험이 많으십니다. 투자 받으려는 업체에 조언을 한다면?
 

: 가능한 자기자금 또는 금융권 차입 등을 통해 운영자금을 조달하시고, 투자유치를 최후의 자금동원 수단 정도로만 생각하십시오. 투자는 가장 비싼 대가를 요구하는 “빚”입니다.



강진구이사 Apple Appstore & KT Olleh Markete etc. 기획 런칭 다수의 앱 및 사업기획


1.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위한 단계별 기획 전략에 대해 강연하시기로 돼 있습니다. 강연을 요약하신다면 ?
 

기획단계에서의 전략과 전술, 목표와 타이밍설정 그리고 세부실행단계에서의 필요조건들인 감성,트랜드,아이디어,테크놀로지,디자인에 이르기까지 기획과정의 전반적인 필수요소들을 실례와 함께 짚어보며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는 기획의 노-하우를 알아봅니다.


2. 스마트폰 앱 기획을 어떻게 해야 잘할 수 있을까요? 앱 기획을 하시는데 있어서 어떤 것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시는지요?
 

스마트폰은 훌륭한 디바이스임에 틀림없으나 아직 많은 제약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 사용자층의 성향에서부터 OS및 디바이스의 기술적 한계까지를 가능한 자세히 리서치 한 후 기획 및 개발을 하여야 하겠습니다. 초기, 반짝이는 아이디어로 혁신적인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디바이스의 성능을 홍보하는 듯한 성격의 앱들은 이제 오히려 희소성이 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대부분 앱들의 수명이 길지 않음을 감안, 컨텐츠의 성격이 뚜렷하고 확장성, 연계성 및 지속적인 사용성등에 초점을 맞추어 기획하는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3. 아이디어 등을 얻기 위해서 어떻게 하십니까? 창의성을 키우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있다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이 늘 앞서야 하며, '나는 거부감 없이 모든 것을 받아들일 수 있다'는 개방적인 자세와 자신감이 필요합니다. '삶' 자체, 그 모든것이 기획을 위한 소재임을 깨닿고 끊임없이 보고, 듣고, 경헙해 보는것이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이러한 노력을 매일매일, 매주, 매달 끊임없이 '꾸준히' 해 나간다는것이 중요합니다. 꾸준한 노력으로 내 안에 켜켜히 쌓인 시간은 그 무엇으로도 따라갈 수 없는 최강의 리소스가 됩니다.

 
http://www.devmento.co.kr/devmain/seminar/edumento_detail.jsp?dataSeq=120 

Posted by 플래닝조율사
,